“파생증권 쏠림 현상 심각… 리스크 커질 땐 발행 제한”

입력 2015-08-28 02:16

금융 당국이 저금리 시대에 중위험·중수익 재테크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결합증권 시장 관리에 들어갔다.

금융위원회는 27일 “파생결합증권 기초지수별 쏠림 리스크를 모니터링하고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파생결합증권 발행을 일정 기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증권사에 대해선 매년 정기적으로 유동성과 건전성 스트레스테스트(금융 시스템 점검)를 실시하기로 했다.

파생결합증권 규모는 지난 6월 말 현재 94조4000억원으로 2010년 대비 4.2배 증가했다. 수익률은 높고 손실 확률은 낮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최근 중국 증시 하락 등 여파로 손실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증권사들이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 원금 비보장형 상품 비중을 늘리고, 여러 가지 지수를 결합한 ELS상품을 내놔 위험성이 커진 상태다. 우선 금융위는 특정 지수 상품 쏠림현상을 막기 위해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 대비 규모 등을 고려해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해당 지수를 기초로 한 파생결합증권 발행을 일정 기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6월 말 현재 홍콩HSCEI지수를 기초로 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은 36조3000억원으로 전체 잔액의 38.5%에 달한다.

증권사에 대해선 2008년 금융위기 수준으로 유동성 스트레스테스트를 다음 달 말까지 완료하고, 건전성 스트레스테스트는 11월 말까지 끝낼 계획이다. 또 파생결합증권 조달자금은 특별계정을 통해 증권사 고유계정과 구분해 관리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자금 운용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 절대수익추구형스와프(ARS)를 일반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은 금지된다. 다만 다양한 투자 수요 충족을 위해 기관과 전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사모 발행은 가능하다.

금융위는 “이번 대책은 선제적 조치”라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파생결합증권의 주요 기초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주요 녹인(Knock-in·원금손실) 구간에 이르기까지 여유가 있어 가까운 시일에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박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