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의 대선 출마 선언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바이든 부통령의 출마를 사실상 용인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CNN방송은 25일(현지시간) 민주당 고위 관계자를 인용, 오바마 대통령과 바이든 부통령이 전날 백악관에서 비공개 오찬회동을 갖고 대선 출마 문제를 포함해 여러 사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출마에 대통령의 승인 절차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논의 과정에서 당연히 그 문제도 거론됐다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바이든 부통령의 출마를 용인했고 이제 출마할지 말지의 선택은 순전히 바이든 부통령의 몫이라고 전했다. 이 민주당 소식통은 “오바마 대통령은 바이든 부통령의 출마를 방해하지 않고 또 출마하지 못하도록 설득하지도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치권 일각에선 오바마 대통령이 ‘이메일 스캔들’로 곤경에 처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대신 바이든 부통령을 지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막말’ 논란이 끊이지 않는 공화당 대선 예비후보 도널드 트럼프는 폭스뉴스의 여성 간판 앵커 메긴 켈리를 다시 폄하했다. 트럼프는 24일 켈리가 열흘간의 여름휴가를 마치고 방송에 복귀하자 자신의 트위터에 “빔보(bimbo·섹시한 외모에 머리가 빈 여자를 폄하하는 비속어)가 돌아왔다. 오래 머물지 않기를 바란다”는 글을 리트윗했다.
그러면서 그는 “켈리의 상태가 좋아 보이지 않는다”며 “켈리가 없는 ‘켈리 파일’이 훨씬 좋았다. 켈리는 아마도 자신이 계획하지 않은 11일간의 휴가를 또다시 가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방송 조기 하차를 바라는 듯한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해 로저 에일스 폭스뉴스 회장은 성명을 내고 “켈리에 대한 트럼프의 놀랍고 근거 없는 공격은 충격적이고 용납할 수 없다. 트럼프가 이번에는 사과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항의했다.
또 다른 공화당 예비후보인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는 ‘앵커 베이비’(anchor baby·원정출산) 발언으로 역풍을 맞고 있다. “미국에서 태어나는 아기에게 미국 국적을 주는 제도를 아시아인들이 조직적으로 악용하고 있다”는 24일 그의 발언에 미국 내 아시아계 전체가 들고 일어섰다. 워싱턴DC에 소재한 전미아시아태평양계미국인협의회(NAPALC)는 논평을 내고 “부시 후보가 경멸적인 용어를 사용했다”고 비판했다. 워싱턴지구 한인연합회도 “아시아계 이민자 자녀들을 향해 ‘앵커 베이비’라고 한 것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경멸적이고 모욕적인 발언”이라며 공식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배병우 선임기자 bwbae@kmib.co.kr
오바마는 바이든 편?… 두 사람, 비공개 오찬 회동
입력 2015-08-27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