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남북 고위급 접촉을 계기로 통일·안보 행보에 더 속도를 내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26일 주한 미국·중국대사를 연쇄 면담했다. 당 토론회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외교·통일 정책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여권에 비해 비교우위에 있다고 강조해온 통일·안보 의제에서 주도권을 뺏기지 않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남북) 합의가 매우 뜻 깊지만 6·15선언과 10·4선언이 도달했던 수준에 비하면 까마득하다”고 말했다. 그는 당 한반도평화안보특위 첫 회의에서도 “우리 당의 안보(정책)는 그저 평화를 지키는 안보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평화를 만들어 나가는 안보라는 점에서 새누리당의 안보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며 “우리 경제의 활로를 만들어 내는 안보라는 점에서도 차원이 다르다”고 했다. 김대중·노무현정부 당시의 남북관계가 현재보다 더 진전됐던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발언이다.
문 대표는 이어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 “북핵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역시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가 가장 합당한 방안이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와의 면담에서도 “이번 위기극복 과정에서 한·미동맹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당 소속 의원들은 새정치연합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이 주최한 ‘박근혜정부 전반기 통일·외교·안보정책 평가와 과제’ 토론회에서 정부 정책 비판을 쏟아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번 합의만으로 안보 부실과 총체적 무능을 치유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고 했다. 백군기 의원은 “박근혜정부는 안보정권을 내세우지만, 낙제점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남북정상회담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박지원 한반도평화안보특위 위원장은 안보특위 회의에서 “5·24조치 해제나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 등 현안 논의를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도 조속히 열려야 한다. 이런 교류협력을 바탕으로 이른 시일 내에 남북 정상도 만나야 한다”고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자칫하다간 안보 의제 뺏길라’ 대북 정책 비판나선 野… 남북 협상 타결 계기 위기감 역력
입력 2015-08-27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