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의 길 열다] 이산가족 상봉은… “추석前 대규모 상봉 어렵다” 정례화될 가능성은 높아져

입력 2015-08-26 02:25
남북 고위급 접촉 대표단이 25일 새벽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내 우리 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무박4일간의 마라톤협상 끝에 6개항에 합의한 뒤 악수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 김양건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 황병서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 통일부 제공

남북이 25일 판문점 고위급 당국자 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에 합의하면서 추석 전후로 이산가족들이 만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이 정례화되고 남북 민간 교류도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합의사항을 담은 공동보도문에는 “남북이 올해 추석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고, 앞으로 계속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9월 초에 가지기로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이산가족 문제는 다른 것보다 훨씬 중요해서 반드시 보도문에 합의가 적시돼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생사확인 등 좀 더 시급한 문제부터 처리하기 위해 9월 초로 일정을 명시했다”고 말했다.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해 2월 금강산에서 상봉 행사가 한 차례 열린 뒤에는 기약 없이 중단됐었다.

상봉 시기는 공동보도문에 ‘올해 추석을 계기로’라고 명시된 만큼 1985년과 2002년, 2009년 때처럼 추석을 전후해 잡힐 가능성이 크다. 상봉 장소는 금강산이 유력하다.

그러나 접촉에 참가했던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국회에서 문재인 대표 등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에게 합의결과를 보고하면서 “추석 전 대규모 상봉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홍 장관은 “(이산가족들의) 여러 연고자가 연결돼야 하는 등 문제가 있어서 대규모로 하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아 적정규모로 앞으로 계속하기로 했다”고 했다.

남북은 ‘앞으로 (상봉을) 계속하기로 했다’고도 한 만큼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일회성’을 넘어 정례화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상봉 정례화 등을 논의할 적십자 실무접촉이 다음달 초로 예정됐고, 정부도 최대한 빨리 우리 측 이산가족 6만여명의 현황을 파악해 북측에 전달할 예정이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 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우리 정부에 등록된 이산가족은 12만9000여명이다. 이 가운데 생존자는 6만6000여명으로 절반가량이 80세 이상 고령자다.

남북 합의에 따라 상봉 행사를 주관하는 대한적십자사(한적)는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곧바로 구성,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한적은 9월 초에 남북 실무접촉에서 합의한 내용을 토대로 인선위원회를 구성, 상봉 대상자 선정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한적은 전례에 따라 고령자와 직계가족 우선 원칙을 기본으로 하되 연령대별로 구체적인 비율이 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