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고 여파가 미친 때문인지 지난해 소비자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제품을 제조사가 회수해 점검이나 교환, 수리해 주는 리콜 건수가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소비자원이 처리한 리콜 건수가 총 1752건으로 973건이었던 직전해보다 80%(779건)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공정위는 “세월호 사고 후 안전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며 “정부는 관련법을 적극적으로 집행했고 업체들도 자발적인 리콜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유형별로 보면 리콜 명령이 1136건(64.8%)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의약품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지난해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5개 품질부적합 한약재 사용업체에 대규모(561건) 리콜명령을 내리면서 2013년 161건이던 것이 1년 새 711건으로 급증했다.
자진 리콜도 339건이나 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리콜관리기준 강화와 GM의 자동차 리콜 사태 여파로 공산품 자진 리콜은 8건에서 52건으로, 자동차 품목은 88건에서 164건으로 증가했다. 리콜 권고는 227건이었다. 산업부가 제품안전기본법에 대한 집행을 강화하면서 공산품 리콜 권고는 2013년 97건에서 지난해 256건으로 2.6배 늘었다.
세종=서윤경 기자
세월호 이후 리콜 건수 80% 급증… 안전문제 관심 커져
입력 2015-08-26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