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주말부터 연일 개최한 금융시장 점검회의에서 “우리 자본시장의 성숙도에 걸맞은 국제 위상을 확보해 안정적인 글로벌 투자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라”고 다독였다. 외국인 투자자금을 붙잡는 것이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빠져나올 열쇠라는 것이다.
금융 당국의 가시적인 목표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선진시장 지수’ 편입이다.
임 위원장은 “선진지수 편입을 위해 MSCI 측과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27일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MSCI 선진지수에 한국이 편입되면 약 150억 달러(18조원)의 자금이 국내 주식·채권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SCI 선진시장 지수 편입은 한국 증시의 오랜 숙원이다. 선진시장에 투자하는 자금은 규모가 더 크고 더 장기간 돈을 묻어두니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한국경제가 외국 신용평가사의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높이는 데 온 힘을 쏟은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한국 증시는 2008년 MSCI 선진지수 편입을 위한 검토 대상(Watch List)에 올라간 후 이듬해부터 6년 연속 선진지수 승격에 도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올 초 임 위원장 취임 이후 다시 의욕적으로 나서고 있는 금융 당국은 이번에는 총력전을 펼칠 태세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도 워킹그룹에 참여하고, 임 위원장도 연일 공개적으로 시장 관계자들을 독려하고 있다.
임 위원장은 “금융투자협회 등 다른 기관들도 외국 투자자에게 우리 자본시장의 성숙도와 투자 매력도를 적극 홍보해 줄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MSCI 선진시장 편입이 가시화된다면 증시를 떠받칠 투자자금의 질과 양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MSCI 선진지수 편입 드라이브에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무디스 등 국제신용평가사의 국가신용평가가 글로벌 금융위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웃음거리가 된 것처럼 MSCI 지수 역시 하나의 투자 참고사항일 뿐 그 자체가 외국 투자를 끌어들일 바로미터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MSCI 지수를 추종하는 자금의 규모가 가장 크기는 하지만 이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나 파이낸셜타임스주식거래지수(FTSE)에서는 한국이 선진국으로 분류돼 있는 만큼 추가적인 투자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론도 있다. 한국은 현재 MSCI 선진지수 편입 검토 대상에서도 빠져 있어 실제 편입은 아무리 일러도 내후년에나 가능하다.
MSCI가 지수 편입의 조건으로 코스피선물지수의 해외 상장이나 외환시장의 개장 시간을 유럽과 미국에 맞춰 연장토록 요구하는 점도 과제다.
한 금융시장 관계자는 “MSCI가 변경을 요구하는 사항들은 우리 금융시장의 핵심 정책”이라며 “국가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중국發 금융 쇼크] 정부 ‘MSCI 선진시장 지수’ 편입 총력전
입력 2015-08-26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