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쇼크도 문제지만 가계부채 폭증은 더 걱정

입력 2015-08-26 00:40
중국발(發) 공포가 세계 금융시장을 짓누르고 있다. 24일 중국 증시 폭락(8.49%) 여파로 글로벌 주식시장은 폭락 도미노를 연출했다. 아시아 증시에 이어 유럽과 미국 증시가 급락하는 등 패닉 상태였다. 신흥국 화폐 가치도 동반 급락해 신흥시장에 대한 투자심리는 점점 악화되고 있다. 25일에도 중국 증시는 폭락세(7.63%)를 이어갔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 또한 대부분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국내 주식시장은 북한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일단 급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확산되고 있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형국이다.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감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 충격파가 실물경제로 전이될 경우 세계 경제는 침체에 빠지게 된다. 이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는 커다란 타격이다. 당국이 이날 금융시장동향 점검회의와 중국 전문가그룹 회의를 잇달아 연 것은 이 때문이다. 한데 당국의 자세가 안이하다. 우리 경제와 증시의 기초체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느니 중국 증시 급락이 한국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말을 되풀이하고 있다.

대외 악재 못지않게 가계부채라는 핵폭탄급 내부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는 점에서 위기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 한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천문학적 가계빚은 한국 경제의 뇌관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2분기 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분기별 액수로는 사상 최대폭(32조2000억원)으로 늘어나 6월 말 기준 1130조5000억원이 됐다. 처음으로 1100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자칫 이들 악재가 얽히고설켜 한꺼번에 폭발하면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작지 않다. 대내외 위험 요인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면밀한 대책을 세워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