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자 병기 공청회’조차 방해하는 시민단체라니

입력 2015-08-26 00:30 수정 2015-08-26 11:23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찬성과 반대를 주장하는 시민단체들의 공방도 가열되는 양상이다. 이들은 24일 교육부가 개최한 공청회에서 정면충돌했다.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는 이날 한국교원대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다음 달 ‘2015 개정 교육과정’ 확정을 앞두고 교육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하지만 공청회는 한자 병기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회원들이 현수막 제목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예정보다 늦게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한자 병기를 찬성하는 측과 반대 측 사이에 욕설과 고성이 오갔고 일부에선 몸싸움까지 벌어졌다. 이런 상황은 토론 내내 이어졌고 여러 차례 파행도 빚어졌다. 양측의 주장은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찬성하는 쪽은 어려서부터 한자를 배우면 우리말의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반대쪽은 초등학생들의 학습 부담 증가로 이어져 결국 사교육만 조장할 것이라고 반박한다. 교육과정 개편안이 내달 확정·고시되기 때문에 양측의 대립은 더욱 뜨거워질 것이다.

공청회는 국가·지방자치단체나 국회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폭넓은 의견을 모으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충분한 토론을 통해 이견이나 갈등을 원만히 해소할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해집단이 정부 정책에 이견이 있다면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반대 여론을 모을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공청회 개최 자체를 방해하는 행위는 반민주적이며 절호의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리는 것과 같다. 공청회를 파행으로 이끌 것이 아니라 떳떳하게 참석해 활발하게 토론에 임하는 게 순리다. 자녀들에게 무엇을 가르칠까를 염려하기보다 민주시민으로서 기초소양부터 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