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티켓’으로 불린 서울지역 대형 면세점 심사결과가 미리 유출됐던 것일까. 심사에 참여한 관세청 직원이 결과 발표에 앞서 외부와 연락한 사실이 포착됐다. 금융 당국은 사전 유출 의혹 조사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사전 유출 의혹 합동조사를 벌이고 있는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은 최근 관세청으로부터 자체 감사 결과를 전달받았다. 심사 과정을 지원한 일부 관세청 직원이 비상용 휴대전화로 친지 등 외부인과 통화한 정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청은 지난달 10일 오후 5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을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주식시장에서는 이날 오전 10시34분부터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주가가 급상승하기 시작해 30% 폭등한 상한가로 마감했다. 이 주식은 발표 이후 4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200% 넘게 올라 주식을 산 사람들에게 대박을 안겨줬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면세점 사업자 선정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난해의 2배로 껑충 뛸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다른 입찰업체와 비교해 선정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받았던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주가가 발표에 앞서 상한가까지 폭등한 것을 두고 심사결과가 사전에 유출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입찰 참여업체들을 향한 기대감으로 보기에는 상승폭이 너무 컸다는 것이다. 주식 매수도 90% 이상 개인투자자를 통해 이뤄졌다.
의혹이 제기되자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은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와 함께 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단순 의혹만으로 자본시장조사단이 움직인 것은 이례적이었다. 금융위는 의심 징후 포착 단계부터 합동조사를 벌이는 ‘패스트트랙(Fast Track)’으로 조사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시장의 의혹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의지였다. 증시 가격제한폭이 확대된 6월 15일 이후 불공정 의심 거래에 대한 패스트트랙 조사는 처음이었다. 자본시장조사단은 2013년 박근혜 대통령 지시로 주가조작 엄단을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관세청은 직원들에 의한 유출 가능성은 일관되게 부인해 왔다. 이돈현 관세청장은 언론인터뷰에서 “유·무선 전화와 인터넷이 차단된 상태여서 (결과가) 외부로 유출됐을 개연성은 없다”고 말했다. 당시 심사단은 민간인 8명과 정부인사 4명으로 구성돼 지난달 8일부터 10일까지 2박3일간 인천공항공사 인재개발원에서 합숙했다. 모두 휴대전화를 반납한 상태였고, 관세청의 지원인력까지 외부 연락을 금지했다.
그러나 관세청 감사 과정에서 일부 직원이 합숙 중 비상용 휴대전화로 친지 등 외부인과 통화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의혹이 다시 커지고 있다. 관세청 측은 “일부 진행요원이 비상연락폰으로 외부와 연락한 사실은 확인했지만, 면세점 사업자 선정과 관련된 정보유출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수사권이 있는 자본시장조사단의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사실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관련 직원들을 상대로 통화 내용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한화갤러리아 면세점 심사때 주가 급등 알고보니 관세청 직원이 외부통화… 정보 흘린 듯
입력 2015-08-25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