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北 사과 안하면 확성기 방송 계속”

입력 2015-08-25 02:38

북한의 목함지뢰 및 포격 도발로 촉발된 군사적 위기상황 해소를 위한 남북 고위급 접촉이 3일째 지속됐으나 ‘도발 사과·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하는 우리 측과 ‘심리전 방송 선(先)중단’을 주장하는 북측이 팽팽히 맞서 신경전만 거듭됐다. 이와 관련, 박근혜(얼굴) 대통령은 “(북한의) 확실한 사과 없이는 확성기 방송을 유지할 것”이라며 대북 원칙을 다시 한번 강하게 천명했다.

박 대통령은 24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번 회담 성격은 무엇보다 현 사태를 야기한 북한의 지뢰 도발을 비롯한 도발행위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며 “매번 반복돼온 도발 상황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북한의) 확실한 사과와 재발방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것은 국가안보와 국민안위가 걸린 문제로, 북한이 도발 상황을 극대화하고 안보에 위협을 가해도 결코 물러설 일이 아니라 생각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재차 “그렇지 않으면(북한이 사과하지 않으면) 정부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 확성기 방송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지난 주말부터 연 이틀 밤을 새워 논의했고 현재 합의 마무리를 위해 계속 논의 중에 있다”고 언급해 남북 대표단의 협상이 상당 부분 진척됐음을 시사했다.

박 대통령은 또 “저는 우리 군을 믿고 장병들의 충성심을 신뢰한다”며 “어제 ‘위기상황이 끝날 때까지 전우들과 함께하겠다’며 전역을 연기한 병사들의 소식을 들었다. 그런 애국심이 나라를 지키고 큰 귀감이 되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아울러 “정부는 북한의 그 어떤 도발도 강력히 응징할 것”이라며 “하지만 대화가 잘 풀린다면 서로 상생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박 대통령은 “아무리 위중한 안보 상황이라도 정부와 군, 국민이 혼연일체가 되면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판문점 우리 측 ‘평화의 집’에서 전날 오후 3시30분부터 만 24시간 이상 진행된 마라톤협상에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위기 해소를 위해선 북측이 지뢰 도발에 대해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측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는 북측 소행을 거듭 부인하며 대북 심리전 방송 중단만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