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 충돌과 전격적인 고위급 회담이 이어졌던 주말 사이 세종시와 서울 세종로의 정부청사도 긴장감이 흘렀다. 정부는 일요일인 23일에도 비상체제를 유지하면서 남북한 고위급 대화에서 발생할 모든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으나 일단 남북관계의 큰 흐름이 강경 대치에서 대화 국면으로 급선회한 것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형환 1차관과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가졌다. 실무 직원들은 세종청사에서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대기했다. 남북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른 22일에도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열었다. 간부들은 북한 도발과 중국의 위안화 절하, 미국의 금리 인상까지 겹쳐 혼란스러운 금융시장을 점검했다. 최 부총리는 남북 긴장이 이어질 경우 우리 경제에 끼칠 ‘복합 리스크’를 점검하고 상황별 비상계획을 논의했다.
이날 오후 판문점에서 회담이 열리면서 북한 리스크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감돌았다. 그러나 자정을 넘어 새벽까지 회의가 이어졌고 23일 오후까지 결론이 나오지 않으면서 긴장을 늦추지 못했다.
기재부는 지난 21일에도 한국은행·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합동 상황점검반을 구성했다. 상황점검반은 외국인 자금 유출입 등 국내외 금융시장, 소비·수출입 등 실물지표 동향을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중이다.
금융위도 21일과 23일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증시와 외환시장에 끼칠 여파를 살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3일 회의에서 “중국 증시 급락과 남북관계 긴장으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금융위·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 관련기관 합동으로 시장 점점회의를 계속 열어 필요한 조치들을 지체 없이 이행하라”고 지시했다. 금융위는 외신 동향과 외국 투자자들의 분위기를 면밀히 점검해 한국 상황에 대한 불필요한 우려를 적극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이관섭 1차관과 문재도 2차관도 각각 경기도 파주와 인천 강화군 변전소를 찾아 전력공급 대책을 살폈다.
세종=서윤경 기자, 김지방 기자 y27k@kmib.co.kr
[남북 고위급 접촉] 기재부 경제상황 점검회의 등 휴일 비상체제 유지
입력 2015-08-24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