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발 악재에 북한 리스크까지 겹쳐 한국경제의 시름이 깊다. 메르스가 종식돼 한숨 돌리나 했더니 중국 위안화 절하 충격이 엄습한데 이어 북한의 포격 도발이라는 복병까지 덮쳤다. 여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까지 예고돼 있어 넘어야 할 파고가 갈수록 높아지는 형국이다.
북한 문제는 고질적인 경제 불안 요인이어서 어느 정도 내성이 생기긴 했지만 하필 대외 여건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돌출됐다는 점이 걱정스럽다. 나라 밖의 먹구름에 한반도의 지정학적 취약성인 ‘코리아 디스카운트’까지 발발해 우려를 더하고 있다. 따라서 그 충격파가 종래에 비해서는 다소 셀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특히 북한이 남한의 내륙을 포격한 것은 처음인 데다 추가 도발을 경고한 데드라인이 이번 주말이라 불안감이 극대화되고 있다.
당장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였다. 21일 코스피는 연중 최저치로 떨어졌다. 가뜩이나 움츠러든 투자심리가 북한 여파로 꽁꽁 얼어붙었다. 코스닥도 5거래일 연속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갔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95원으로 연내 종가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피가 급락할 때 반대로 급등하는 특성을 지닌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도 이날 올 들어 가장 높이 올랐다. 이 지수는 코스피200 옵션 가격을 토대로 한 달 뒤 지수가 얼마나 변동할지를 예측하는 지표다.
정부는 이날 오전 기획재정부 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여는 등 북한 쇼크에 따른 대책을 마련했다. 합동점검대책반을 가동해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상황별 시장 안정화 대책도 수립했다. 그러나 정부의 투자심리 안정화 노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경제주체들의 마음가짐이다. 북한 여파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극복하지 못할 사안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남북 문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 않는 한 결국 그 파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단지 이번은 대외 변수가 더해져 그 강도가 평소에 비해 좀 강하다는 것뿐이다.
흔히 경제는 심리라고 한다. 경제활동이 심리적 상태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는 의미다. 실제 이상의 공포에 위축된다면 그 피해는 궁극적으로 스스로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정부를 비롯해 기업·가계 등 경제주체들은 상황 변화를 꼼꼼히 지켜보고 냉철하게 대처함으로써 어려움을 극복해야겠다.
[사설] 한반도 리스크 노출됐으나 위축될 필요는 없다
입력 2015-08-22 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