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내년 4월 실시되는 20대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공천개혁 경쟁’에 돌입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현역 국회의원 평가를 실시해 하위 20%는 공천에서 배제하겠다는 ‘물갈이’ 방침을 밝혔다. 새누리당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공천개혁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운데 중진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도 이어지고 있다.
새정치연합 혁신위원회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평가위)’를 구성해 현역 의원 평가를 실시하고, 하위 20%는 공천에서 배제하는 내용을 담은 공천혁신안을 발표했다. 산술적으로 새정치연합 의원 129명 가운데 25명 이상이 평가를 통해 공천을 받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이후에도 당내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 공천관리위원회 등을 통해서도 추가로 공천 탈락할 의원들까지 감안하면 현역 의원 물갈이 비율은 훨씬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게 혁신위원회의 설명이다.
혁신위는 평가 기준으로 지역구 의원의 경우 지지도 여론조사와 의정활동·공약이행 평가, 다면평가, 선거 기여도 평가, 지역구 활동 평가 등을 반영키로 했다. 15인 이내의 평가위는 전원 외부 인사로 꾸려진다. 혁신위는 공천 혁신안을 20일 당무위원회에 상정해 의결할 예정이다.
새정치연합에서는 이미 물밑에서 ‘86(80년대 학번·60년대생)세대 의원 적지 출마론’ ‘중진 용퇴론’ 등이 돌고 있다. 공천 혁신안까지 발표되면서 ‘물갈이 논의’는 더 힘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책임 있고 신뢰받는 정당을 위해 우리 당 국회의원은 먼저 계파와 기득권, 개인의 이익을 뛰어넘는 선당후사, 백의종군, 결초보은을 결단하고 실천하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에서는 자발적인 불출마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중진인 이한구 강창희 의원에 이어 김태호 최고위원까지 최근 총선 불출마를 공식화한 상황이다. 내년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당 지도부가 주도하는 물갈이는 아니더라도 영남지역 중진 의원들의 ‘용퇴론’이 당 내부에서 고개를 들 수 있다. 김무성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침에 따라 ‘경선 경쟁력’이 크게 뒤처지는 일부 의원들의 불출마 행보도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야당의 이번 혁신안이 진정한 ‘공천개혁’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논리와 함께 오픈프라이머리야말로 계파나 지도부 입김에 좌우되지 않는 공천개혁이라는 점을 부각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야당과의 ‘동시 오픈프라이머리’ 명분을 쌓겠다는 전략이다.
임성수 김경택 기자 joylss@kmib.co.kr
여의도 ‘공천 칼바람’ 분다
입력 2015-08-20 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