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톈진항 연쇄 폭발사고 현장에서 흡입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독성가스가 검출됐다고 CCTV 등 중국 언론들이 19일 보도했다.
베이징소방총대는 지난 16일 사고현장에서 500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 가능한 최고치 수준의 유독성 기체가 발견됐다고 이날 공개했다. 특히 사고현장에 차량 접근이 어려워 소방관들이 산소공급기 등 장비를 갖추고 도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도 측정기에서 계속 경고음이 나왔다고 베이징소방총대 관계자는 전했다.
18일부터 톈진 일대에 비가 내리면서 맹독성 물질인 시안화나트륨의 기화로 인한 2차 피해 우려도 커졌다. 시안화나트륨은 물과 만나면 독가스 성분인 시안화수소가 생성된다.
베이징화공대학 국가신위험화학품 평가·사고감정실험실의 먼바오 박사는 “시안화나트륨은 독성이 강해 피부 접촉만으로도 상처를 입을 수 있고 흡입하거나 잘못해서 먹게 되면 몇 ㎎만으로도 죽을 수 있다”고 CCTV에 말했다.
관영 차이나데일리도 시안화나트륨이 단 7방울만으로 70㎏의 체중을 가진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고 소개하며 작은 공기방울 상태로도 바람을 타고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먼 박사는 시안화나트륨이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비교적 안정 상태를 보인다는 점을 언급하며 “공기 중 부유하거나 지표면 분말 상태일 때에는 저농도 알칼리성 과산화수소를 분무해 독성을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먼 박사는 또 폭발지점 반경 100m 이내 지역에서 공기 측정 결과 신경성 독가스도 검출됐다면서 다양한 위험 물질이 폭발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독 기체를 방출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신경성 독가스 역시 흡입 시 호흡기, 심장 기능정지로 최고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톈진시 환경보호국 총공정사 바오징링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날 비 오는 상황에서 24시간 276개 샘플을 구해 분석했지만 시안화물이 기준치를 넘어서는 이상 상황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사고 발생 2주간은 외부활동을 자제해야 하며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톈진, 2차 피해 우려 커져… 폭발 현장서 치명적 독성가스 검출
입력 2015-08-20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