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을 몇 년씩 남겨두고 교단을 떠나는 명예퇴직 교사들이 여전히 줄을 잇고 있다. 하지만 퇴직의 뜻을 이루는 비율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여 명퇴를 위한 ‘재수’ ‘삼수’가 이어질 전망이다.
19일 전국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경북지역에서만 209명의 교사가 10여일 뒤 정든 학교를 떠난다. 전반기 367명을 더하면 경북지역 올해 명퇴 교사 수는 576명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533명보다 8%가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당초 명퇴를 신청했던 교사만 보면 1년 전보다 배 이상 급증했다. 이 지역 명퇴 신청 교사 수는 지난해 533명이었으나, 올해 1102명으로 크게 늘었다.
광주에서도 신청 교사가 지난해 164명에서 올해 299명으로 82%가 증가했다. 강원도에서는 1년 전 365명에서 75%, 대전에서는 331명에서 53%가 늘었다. 전북에서는 상반기 559명에 이어 하반기 170명의 명퇴가 확정됐다. 전체 729명으로 지난해 577명보다 26%가 늘어났다.
교원들의 명퇴 열기는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한데다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각 교육청은 예산이 부족해 이들 교사들의 신청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울산에서는 올해 하반기에 1명도 명예퇴직을 할 수 없게 됐다. 울산시교육청은 올해 책정된 명퇴 예산 225억여 원을 상반기에 모두 써버려 하반기엔 신청 자체를 받지 않았다. 울산은 상반기에도 신청자 262명 가운데 57%만 수용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우선 내년 상반기에는 200명 정도 명퇴 수용을 할 계획이지만 400억원 이상의 재원이 소요돼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서는 하반기 신청자 639명 가운데 29%(182명)만 수용됐다. 상반기에도 수용률은 49%였다. 서울은 하반기 신청자 1212명 가운데 34%, 경남은 316명 중 35%를 수용하는데 그쳤다. 강원도에서도 하반기 36%에 불과했다. 전북은 상반기 수용률 67%를 기록했으나 하반기엔 36%에서 멈췄다. 인천은 올해 506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전체 40%(319명)만 수용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예산 규모는 정해져 있는데 교원들이 명퇴를 대거 신청해 수용률이 그만큼 낮아지게 됐다”고 말했다.
반면 부산과 충북지역 등은 100% 수용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올해 409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372명의 신청을 모두 받아들였다. 충북도교육청은 하반기 신청자 83명을 100% 수용했다. 광주시교육청도 지난 해 116억여 원을 들여 164명을 모두 수용한 데 이어, 올해에도 203억원을 확보해 91%의 명퇴를 확정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전국종합
ygkim@kmib.co.kr
“학생 지도 힘들고 연금 개혁 이전에 떠나자” 명퇴도 재수·삼수… 딴 세상 같은 교단
입력 2015-08-20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