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 305개가 국가기밀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정밀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연방법원에 17일(현지시간) 보고했다.
국무부는 연방법원의 명령에 따라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 중 국가기밀이 아닌 일반 메일은 공개하도록 돼 있다.
정밀조사 대상 이메일 305개는 클린턴 전 장관이 제출한 3만건 중 20%(6000건)를 샘플로 뽑아 공개 여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결정됐다. 따라서 심사 작업이 진행될수록 정밀조사 대상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국무부는 연방수사국(FBI) 등 국가기밀을 다루는 5개 정보기관과 합동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민주당의 유력 대선후보인 클린턴 전 장관은 개인 이메일로 국가기밀을 주고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했지만 국무부의 정밀조사 결정이 나오면서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하게 됐다.
앞서 국가정보국(DNI)의 감찰관이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 40개를 샘플로 추출해 조사한 결과 이 중 2건의 이메일이 1급 국가기밀을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공화당은 클린턴 전 장관의 개인 이메일 사용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비판해 왔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를 정치 공세라고 일축했다. 대선캠프의 닉 메릴 대변인은 “특정 이메일이 기밀인지 아닌지를 두고 기관 간의 이견 충돌이 계속될 것”이라며 “이메일 공개 작업이 관료주의에 방해받지 않고 신속하고 투명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워터게이트 도청사건을 특종 보도해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낸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대기자는 이메일 스캔들을 언급하면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이메일에) 있는데, 어떤 면에서 이는 닉슨 테이프를 떠올리게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MSNBC의 ‘모닝 조’에 출연해 이렇게 언급하면서 “닉슨은 비밀리에 녹음된 수천 시간의 대화를 전적으로 자기 것으로 생각했다”며 “그러나 백악관 집무실에서 오간 대화를 담은 테이프들을 결국 당국에 내놓아야 했다”고 말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클린턴 이메일, 샘플조사만 했을 뿐인데… 305개에 기밀 포함 가능성
입력 2015-08-19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