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변 ‘흉가 주유소’ 왜 많은가 했더니…

입력 2015-08-19 02:37

지방 국도변에 폐허로 변한 주유소들이 늘고 있다. 한때 주유소를 운영하면 ‘지역유지’로 통했지만 지금은 폐업비용조차 없어 버려진 주유소가 전국적으로 400개가 넘어섰다. 주유소업계는 알뜰주유소 확대 등 정부의 정책 영향으로 업계가 피해를 입은 만큼 폐업비용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정부는 타 업계와의 형평성을 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17일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주유소 수는 2010년 1만3004개로 정점을 찍은 뒤 5년째 숫자가 줄고 있다. 반면 폐업하는 주유소는 2011년 205개를 기록한 이후 매년 200개가 넘고 있다.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던 주유소는 1995년 거리제한 제도 폐지 등으로 급격히 숫자가 늘어나면서 수익률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현재 주유소 영업이익률은 1% 안팎으로 추정된다. 1000원을 팔면 10원이 남는 구조다. 저가 경쟁 구조 속에서 지난해부터 하향세를 보인 국제유가 탓에 주유소업계 불황은 장기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휴업 중인 주유소는 지난해 말 기준 449개나 된다. 이들 중 대부분은 1억5000만원 상당의 폐업 비용이 없어 버려져 있는 상태다. 이들 주유소는 단기 임대돼 가짜 석유 불법 유통에 악용되거나 석유탱크 관리부실로 환경오염 우려도 낳고 있다.

주유소업계는 정부가 휴폐업의 간접적 원인을 제공한 만큼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우선 주유소 공제조합 설립에 관한 법률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조합설립을 위한 기금을 매년 10억원씩 3년간 30억원을 지원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반면 정부는 타 업종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할 때 정부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업계가 공제조합을 자신들 손으로 설립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산업통상위원회 소속 이현재 박완주 위원은 21일 ‘주유소업계의 바람직한 구조조정’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