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8차 혁신안 발표를 앞두고 당내 의견 수렴과 공론화 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 이번 혁신안에는 현역 의원을 대거 공천에서 배제하는 안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민감한 내용인 만큼 혁신안이 나오자마자 터질 당내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으로 읽힌다.
혁신위 관계자는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10일 정책의원총회, 16일 대전 기초·광역 의원 간담회·최고위원회 만찬 등에서 공천개혁안 공론화와 의견 수렴 작업을 해왔다”며 “19일 혁신안 발표 전까지 이 작업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혁신위는 그간 ‘100인 원탁회의’ ‘의원 간담회’ 등 당 안팎에서 혁신 과제에 대한 포괄적인 의견을 청취해 왔다. 하지만 의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까지 진행하면서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한 것은 처음이다. 혁신위원인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공천 평가방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혁신안에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고 했다. 혁신위는 최고위 만찬에서도 평가 기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의견을 교환했다고 한다. 출범 초기 당 지도부로부터 ‘의견 교환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성토를 받았던 때와는 180도 달라졌다는 평가다.
혁신위의 태도 변화는 공천 문제에 현역 의원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혁신위는 지역·의정활동 평가, 다면평가, 선거 기여도 등 5∼6가지 정성·정량 평가 항목을 통해 객관적인 의원 ‘교체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스템 공천’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평가의 주체인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가 공천 물갈이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 혁신위가 의원들 의견을 평가 기준에 반영하겠다고 나선 이유다. 최고위는 ‘공천 배제’ 방식에서 ‘공천 감점’ 방식으로 선회할 것을 혁신위에 제안하기도 했다. 혁신위는 그러나 교체지수를 적용해 일정 비율의 의원들을 공천에서 배제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역 교체 비율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결정되면 ‘표적 물갈이’론이 다시금 고개를 들 가능성이 높다. 혁신위는 지속적인 설득 작업을 통해 20일 당무위원회에서 개혁안을 반드시 통과시킨다는 계획이다. 당무위를 통과하더라도 개혁안에 반발하는 의원들이 점차 늘어날 경우 신당·탈당파들의 움직임이 고조될 개연성도 다분하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野 혁신위, 당내 의견 수렴·공론화 총력… 8차 혁신안 발표 앞두고 당내 반발 최소화 노력
입력 2015-08-18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