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후덕 의원 딸 대기업 특혜 채용 의혹 관련 文 대표, 윤리심판원에 직권조사 요청

입력 2015-08-18 02:27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오른쪽)가 17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전병헌 최고위원.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7일 같은 당 윤후덕 의원의 딸 대기업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 당 윤리심판원에 직권조사를 요청했다. 이 문제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원칙적 대응으로 진화에 나선 것이다.

김성수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문 대표가 윤 의원의 자녀 취업청탁 논란과 관련해 윤리심판원에 직권조사를 요청키로 했다”며 “이 문제를 당이 모른 척하고 넘기기는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윤리심판원은 31일 회의에서 윤 의원에 대한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윤 의원은 2013년 9월 자신의 지역구에 있는 LG디스플레이에 딸이 경력변호사로 지원하자 이런 사실을 업체 대표에게 알려줬다. 윤 의원은 사실을 인정하며 블로그에 “딸은 회사를 정리하기로 했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새누리당과 서울지방변호사회 등에서 윤 의원에 대한 국회 윤리위원회 회부를 요구하는 등 파문은 가라앉지 않았다. 윤 의원은 범친노(친노무현)계로 분류되며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는 이날 고(故) 장준하 선생 40주기 추모식에 참석해 과거 독재권력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문 대표는 경기도 파주 장준하공원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선생의 죽음은 위대한 민족 지도자의 죽음일 뿐 아니라 일제와 독재에 대항한 정의의 좌절이었다”며 “선생의 죽음은 대한민국의 정통성에 큰 상처가 됐다”고 말했다.

고인의 의문사 의혹과 관련해선 “선생의 죽음을 통해 민족의 정통성 앞에 부끄러워하는 독재권력의 실체를 알게 됐다. 치부를 감추기 위해 어떤 악랄할 짓도 하는 속성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장준하 선생은 박 전 대통령 시절인 1975년 의문사했다. 문 대표의 발언은 박 전 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최근 백범 김구 선생 묘소를 참배하고, 약산 김원봉 선생에 대한 독립유공 서훈을 주장하는 등 근·현대사 인물을 재조명하고 있다. 문 대표의 이런 행보는 친일·독재 논란이 있는 과거 정부와 항일·민주화 운동을 이끈 역사적 인물을 대조시키면서 진보 진영을 결집하려는 시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