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내년 7월에 시행될 전망이다.
시는 오는 26일 버스업계, 각계 전문가, 시민대표, 시의원 등이 참여하는 준공영제 추진협의회를 발족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이 기구는 준공영제 관련 주요 사항을 논의해 결정한다.
시는 시민 중심의 노선체계 구축, 운행 시간 준수, 난폭운전 근절 등을 위해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3월 6개 시내버스 업체와 맺은 준공영제 도입 추진 협약의 후속 조처로 표준운송원가 산정, 버스관리시스템(BMS)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시내버스 위치 정보와 운행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BMS 구축 사업은 예산 확보를 위한 용역과제 심의 등 절차가 마무리됐다.
현재 버스업계의 수입과 각종 지출 관련 자료 수집과 원가 분석 등이 이뤄지고 있다. 용역 보고서는 오는 11월 나온다.
용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입금 배분의 기준이 되는 표준 운송원가 도출이다. 시가 6개 버스업체의 2012년 수입과 각종 지출 항목을 토대로 2013년에 산출한 표준 운송원가는 1일 58만원이었다.
준공영제는 버스회사들의 모든 수입금을 공동관리위원회가 관리하면서 적자가 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보충해 주고 흑자가 나면 시내버스 관련 인프라 확충에 재투자하는 제도다. 지자체가 배차 간격, 운행 대수, 노선 등을 관리한다. 버스회사가 멋대로 운행을 중단하거나 노선을 변경할 수 없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청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내년 7월 ‘시동’
입력 2015-08-18 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