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해킹대책 세워라” 글로벌 메이커들 움직인다

입력 2015-08-18 02:56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자동차 해킹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는 기계장치를 넘어 외부 통신망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커넥티드카 단계에 들어서 있고, 모든 운전이 컴퓨터로 제어되는 자율주행차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자동차가 컴퓨터화될수록 해킹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미국 상원은 지난달 차량보안 및 운전자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촉구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 등도 관련 법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빠르면 2018년 자동차 보안 규제 관련 법안이 미국에서 통과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드워드 마키 미국 상원의원은 지난 2월 보고서를 통해 “수백만대의 승용차와 트럭이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해킹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보안업체와 대학 연구팀은 최근 몇 년간 주요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의 차량을 무선 해킹하는 실험을 벌여왔다. 그 결과 BMW, GM, 포드, 피아트크라이슬러(FCA) 등 대부분의 글로벌 자동차회사 차량들이 해킹에 취약한 것으로 보고 됐다. 이에 BMW는 지난 1월 ‘커넥티드 드라이브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220만대에 대한 보안강화 조치를 단행했고, FCA도 최근 자신들의 지프 체로키 차량이 해킹되는 실험결과가 공개되자 2015년식 차량에 대한 무상 업그레이드 조치를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지난달 4개 도시에서 자율주행차량 시험운전을 시작하며 차량 보안 강화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차량에 컴퓨터 해킹을 막는 방화벽을 설치하고 주행 관련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랙박스 형태의 제품 탑재 등이 핵심이다.

현대·기아차도 해킹 방지 기술을 자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 연말쯤 출시될 신형 에쿠스에는 자율주행 초기 단계 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이 최초로 탑재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17일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해킹 방지 기술을 공개하는 것 자체가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도 내년 2월부터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이 가능하도록 법안을 개정했으며, 해킹 방지를 위한 대책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