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신동빈 회장의 승리로 일단락되는 모양새다.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롯데홀딩스 임시 주총 결과 신 회장이 상정한 안건이 과반 이상의 찬성으로 원안대로 통과됐다. 신 회장이 롯데그룹을 사실상 지배하는 롯데홀딩스 이사회 지지를 이미 확보한데 이어 주총에서도 우위를 확보함에 따라 20여일을 끌어온 경영권 다툼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총 결과가 롯데 사태의 완전 종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향후 신 회장의 각별한 대처가 요구된다. 우선 지난 11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약속한 내용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밝혀야 한다. 그는 당시 “롯데그룹의 지배구조와 경영 투명성을 개선하겠다”고 천명했고 이날 주총에서 관련 안건을 통과시켰다. 문제는 지배구조 및 경영 개선을 위한 계열사 순환출자 고리 해소 자금 수 조원 마련 방안 등 구체적 계획이 공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순환출자 고리를 연내 80% 해소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남은 4개월여 만에 가능한지 의구심을 갖는 시각이 많다. 신 회장은 이른 시일 내 납득할 만한 세부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급한 불은 피하고 보자’는 식의 꼼수를 부린 것이란 지적을 받을 수도 있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이번 사태로 촉발된 반재벌, 나아가 반기업 정서를 어떻게 다독이느냐는 것이다. 롯데는 비슷한 규모의 다른 대기업에 비해 비정규직과 간접고용 비중이 높고 롯데홈쇼핑 등 주력 계열사의 협력업체에 대한 횡포가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와중에 골육상쟁까지 일으켰으며 특히 고령의 부친을 향한 패륜적 언사까지 서슴지 않아 국민들의 분노는 더욱 심해졌다. 이는 롯데라는 한 기업의 차원을 넘어 재벌 등 재계 전반에 대한 반감을 낳았고 궁극적으로는 경제 활성화에도 악영향을 미친 셈이 됐다. 일그러진 한국의 기업문화를 얕잡아 본 해외의 평가에 국격마저 떨어졌다. 신 회장은 이런 후유증에 상응하는 책임감을 무겁게 느껴야 한다. 국민들은 경영권이 누구에게 가는지 큰 관심이 없다. 다만 일개 기업이 더 이상 국민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사설] 롯데 신 회장, 지배구조·경영개선 구체안 내놓아야
입력 2015-08-18 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