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층 유연해진 광복 70주년 경축사] 朴 대통령 “미래로”… 北·日에 손내밀다

입력 2015-08-17 02:53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서울 마포구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기념 ‘나는 대한민국’ 국민 대합창 행사에 참석해 ‘1945 합창단’과 함께 ‘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를 합창하고 있다. 이 합창단은 전원이 1945년에 태어난 해방둥이로 구성됐다. 오른쪽 뒷모습의 지휘자는 가수 이선희씨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미래로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천명했다. 북한과 일본에는 현 상황에 대한 ‘비판’보다는 앞으로 ‘협력과 관계개선’을 이루자는 의지를 분명히 했고, 국민들에겐 새로운 도약을 키워드로 제시했다.

광복 및 분단 70주년인 올해를 기점으로 향후 원칙을 지키면서도 한층 유연해진 대응으로 대외 관계에 임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구상을 드러낸 것이다. 여기엔 장기간 경색 국면만 지속돼온 한·일 및 남북 관계를 임기 3년차에선 반드시 전환해야 한다는 정치적 판단도 담긴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앞으로 대일·대북 관계 개선을 통한 또 다른 국정동력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만간 남북 고위급 회담 또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등을 다시 제안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박 대통령은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중앙 경축식에서 “앞으로 일본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는 공언을 일관되고 성의 있는 행동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비록 어려움이 많으나 이제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아가야 할 때”라며 “특히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속히 합당하게 해결하길 바란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 전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발표한 전후 70주년 담화에 대해선 “우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다”면서도 비판을 최대한 자제했다. 대신 “사죄와 반성을 근간으로 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 분명히 밝힌 점을 주목한다”고 평가했다.

최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남북 관계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과거에 비해 한층 유연하게 대응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은 도발과 위협으로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미몽에서 깨어나야 한다. 도발과 위협은 고립과 파멸을 자초할 뿐”이라고 경고했지만 “지금도 북한에는 기회가 주어져 있다”며 대화협력 의지도 거듭 표명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거론한 것은 어떤 경우에도 남북 대화의 끈은 서로 놓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6만여명의 남한 이산가족 명단 대북 전달 의사도 피력한 뒤 이산가족 명단 교환의 연내 실현, 이산가족 수시 상봉 등을 제안했다.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남북 철도·도로 연결, 남북 보건·위생·수자원·산림 공동 관리, 학술·문화·체육 교류 등도 재차 제안했다.

박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 역시 미래를 향한 행보에 맞춰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 70년은 대한민국을 굳건한 반석 위에 올려놓은 참으로 위대한 여정”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저는 창조의 역사, 기적의 역사를 써온 국민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대장정에 나서고자 한다”고 했다. 또 ‘새로운 미래’와 ‘미래세대’를 언급하면서 노동개혁 등 4대 분야 개혁 추진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당부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