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전몰자 추도식] 백악관 “환영”… 中 의식 과도한 감싸기, 의원들 “실망”… 진정한 사죄 뜻 없어

입력 2015-08-17 02:50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에 대한 미 백악관의 논평은 미국은 물론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외신들이나 미 의회 및 전문가들의 평가와 확연히 대비됐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아베 총리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가한 고통에 대해 ‘깊은 후회(deep remorse)’를 표현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아베 총리가 이전 정부의 역사 관련 담화를 계승한다고 한 약속 역시 환영한다”고 밝혔다. 또 “국제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겠다는 일본 총리의 다짐을 평가한다”며 “일본은 전후 70년 동안 평화와 민주주의, 법치를 실천했으며 이는 모든 국가의 모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직접적인 ‘사과’가 생략된 아베 총리의 담화에 대해 ‘부분적 유감’이나 ‘실망’의 표현 없이 전체를 환영한 것은 이례적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의 급부상 속에 ‘안보’와 ‘경제’의 양대 축을 일본에 기대야 하는 미국 정부가 과도하게 ‘일본 감싸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반면 미 의회 의원들은 강한 톤으로 아베 총리를 비난했다.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은 “아베 총리가 무라야먀·고노·고이즈미 담화를 명료하게 언급하지 않은 채 모호하게 넘어가 실망스럽다”며 “아베 총리는 한국과 이웃 국가의 희생자들에게 사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은 “아베 총리가 ‘전장의 그늘에는 심각하게 명예와 존엄을 훼손당한 여성들이 있다’고 단순하게 언급했는데 이는 일본군에 고통을 당한 여성들에 대한 ‘직접적인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아베 총리의 과거사 왜곡을 규탄하는 성명을 주도한 미 코네티컷 대학의 알렉시스 더든 교수도 “‘사죄'라는 핵심 단어가 기술적으로는 들어가 있지만 진정한 사죄의 뜻이 담겨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교도통신이 일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아베 총리의 담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44.2%, 부정적인 반응이 37%였다. 집단자위권 법안에는 반대가 62.4%로 찬성(29.2%)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