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에 9월 위기설이 퍼지면서 한국경제에도 불안감을 드리우고 있다. 위기설은 지난 7월 초 미국의 월가 헤지펀드들 사이에 회자되던 것으로 중국 증시 급락, 미국 기준금리 인상, 그리스 유로존 이탈(그렉시트) 등 3가지 악재가 9월에 한꺼번에 불거져 글로벌 경제에 큰 타격을 미칠 것이란 내용이 핵심이다. 그렉시트 불안감이 해소되면서 위기설은 사라지는 듯했으나 지난주 중국의 전격적인 위안화 평가절하로 동남아 신흥국들의 외환위기 가능성이 가속화하면서 다시 거론되고 있다.
실제 현재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통화가치는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도 지난 주말 6개월여 만에 최고를 나타냈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의 부도 때 손실을 보상하는 파생상품으로 가산금리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부도 위험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우리의 경상수지 흑자가 40개월째 이어지고, 외환보유액이 3715억 달러로 세계 6위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이다. 위안화 여파가 우리 경제에 득이 되는 측면도 적지 않고, 미국 금리 인상 역시 예정된 수순이란 것을 감안하면 어지간한 충격파는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설’이 과장된 공포로 포장돼 유포된다는 점도 따져봐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저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정부는 ‘걱정 없다’고 일축하고 있으나 이 점이 오히려 걱정스럽다. 특히 우리의 경우 고착화되는 저성장 기조 속에서 1100조원이란 엄청난 가계부채 폭탄까지 안고 있는 상황이란 점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된다.
[사설] ‘9월 위기설’ 부인하기보다 철저한 대비가 먼저
입력 2015-08-17 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