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4일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를 발표하면서 과거 전쟁에 대해 직접 사죄하지 않고 ‘과거형’으로 역대 정권의 언급을 인용하는 데 그쳤다. 또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해서도 ‘주체’와 ‘피해자’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특히 아베 담화는 과거 전후 50년과 60년 담화인 무라야마 담화와 고이즈미 담화에 비해 대폭 후퇴한 것으로,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반발과 함께 동북아 역사 갈등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베 총리는 이날 도쿄 총리관저에서 임시각의(국무회의)를 열어 전후 70년 담화를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결정했다. 이어 오후 6시부터 직접 기자회견을 열어 담화를 발표했다.
아베 총리는 과거 전쟁에 대해 “우리는 앞선 대전(大戰)에 대해 반복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 마음을 실제 행동으로 표하기 위해 동남아 국가들과 대만, 한국, 중국 등 이웃 아시아인들이 걸어온 고난의 역사를 마음에 새기고 전후 일관되게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을 다해 왔다”며 “이런 역대 내각의 입장은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외에서 숨진 모든 사람들의 목숨 앞에 깊이 머리를 숙이고 통석의 염(念)을 표하고, 영겁의 애통의 마음을 진심으로 올린다”고 덧붙였다.
식민지배와 침략 문제도 거론됐으나 제3자적 일반론 수준이었다. 아베 총리는 “사변, 침략, 전쟁, 어떤 무력의 위협과 행사도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두 번 다시 사용해선 안 된다”며 “식민지 지배로부터 영원히 결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위안부’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전시하 많은 여성들의 존엄이나 명예가 깊이 상처를 받게 된 과거를 가슴에 새겨나간다”고만 언급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일본에서는 전후세대가 인구의 8할을 넘겼다”며 “우리들의 아이와 손자, 미래 아이들에게 사죄를 계속할 숙명을 지워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아베 담화에 대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앞으로)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담화 발표 직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전화를 걸어와 “(아베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에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하자 이같이 답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반면 중국 외교부는 “군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 진정한 사죄를 하라”는 공식 논평을 내고 주중 일본대사관을 통해 엄중히 항의했다.
손병호 조성은 기자 bhs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아베, 마음 없는 ‘과거형’ 사죄… 恨, 그대로
입력 2015-08-15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