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4일 발표한 전후 70년 담화에 대해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진 않았다. 다만 일본 정부가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과거사 해결에 대한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기류가 흐른다. 아베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 사죄, 반성 등 전후 50년의 무라야마(村山) 담화 핵심 키워드는 거론하면서도 직접적인 사과를 하지 않은 점도 평가를 유보한 배경으로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는 점 등은 거론했지만 우회적이고 간접적으로 표명한 부분도 있다”며 “중요한 것은 아베 담화에 대한 국민 여론”이라고 말했다. 일단 우리 정부가 우려했던 최악의 상황은 아니지만 이를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어렵다는 의미다. 아베 총리가 과거사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 대신 우회적인 표현으로 언급한 점 등이 그 근거다.
이제 관심은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천명할 대일(對日) 메시지다. 박 대통령이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에 어떤 수준의 메시지를 담을지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우선 올해가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만큼 양국 간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가자는 취지의 메시지를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를 한·일 양국 관계의 새로운 출발 원년(元年)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짐을 벗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빼놓지 않는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특히 경축사에 최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해결 의지가 반드시 필요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선 더 이상 시간이 없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양국 국민 간 신뢰 증진을 위해 경제 및 안보 협력은 계속 발전돼야 하며 문화 교류 역시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 6월 22일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에서 “(한·일 간) 가장 큰 장애요소인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화해와 상생의 마음으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또 최근 필립 해먼드 영국 외교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도 “아베 정부가 지난 50년간 한·일 관계 발전을 가능케 한 기반이 돼온 무라야마 및 고노 담화 등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계승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광복 70년-아베 면피성 사죄] 朴 대통령,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할 듯
입력 2015-08-15 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