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놓고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서로 엇갈린 주장을 내놨다.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은 아군 진지에 혀로 쓰는 탄환인 ‘설탄(舌彈)’을 쏴서는 안 된다”며 “정치권이 견제하고 비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사에 때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격분된 발언으로 군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매도하고, 의구심을 증폭하는 것은 군의 전력을 약화시킨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이라 표현했지만 전날 국방위 긴급 현안보고에서 “정신 나간 짓”이라고 군 당국과 청와대 참모진을 강하게 질타한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국방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두언 의원은 오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정부 책임론에 다시 불을 지폈다. 정 의원은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신청해 “우리 군의 대응은 나무랄 데 없이 훌륭했지만 군사안보를 포함해 국가안보를 총괄하는 국정 시스템은 오히려 또다시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 군사안보는 성공했으나 국정안보는 패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군 당국이 북한 소행임을 확인한 뒤에도 통일부가 남북 고위급 회담을 제안하고,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가 뒤늦게 열린 점을 끄집어내 “국정 시스템의 총체적 혼선”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가안보실이 무능·무책임·무원칙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가와 국민의 안위에 관한 일에 이처럼 난맥을 보이는데 묵인하고 지나가는 것은 국민과 정부, 대통령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고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北 지뢰도발 정부 책임론 ‘친박·비박 설전’
입력 2015-08-14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