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종교·정치·여성·학계 등을 대표하는 각계 인사 33명은 12일 일본 정부에 과거사 사죄를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세계한인교류협력기구(W-KICA·상임대표 김영진 장로)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귀빈식당에서 개최한 ‘해방 70주년 광복절 국회 기념식 및 각계 인사 33인 시국선언’에서 일본 정부의 자세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일본 정부가 종전 70주년을 맞아 발표하는 ‘아베 담화’는 역대 내각의 담화 내용을 계승해야 하고 과거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배에 대해 진정한 사죄의 뜻을 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본 정부는 아베 정권 출범 후 무라야마 선언의 백지화 시도, 고노 담화 재검증, 일제 치하 강제 징집된 한국인 수용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일본군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 부인 등 역사를 부정하는 행보를 가속화해 왔다”며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문제 해결을 위해 진전된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일본은 자위대가 해외에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안전보장법안’ 강행 처리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33인에는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양병희 한국교회연합 대표회장, 황용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장, 전용재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독회장,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고건 장상 전 국무총리 등이 참여했다.
김영진 상임대표는 “우리의 작은 노력이 일본으로 하여금 바른 역사인식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황 회장은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며 쓴 시 ‘만세함성’을 낭독해 눈길을 끌었다. 행사를 마친 W-KICA 관계자들은 이날 주한일본대사관을 방문해 시국선언문을 전달했다.
김아영 기자 cello08@kmib.co.kr
“아베 담화, 일제 침략 사죄 포함해야”… 종교·정치·여성·학계 등 각계 인사 33인 시국선언
입력 2015-08-14 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