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사건이 발생한 4일부터 9일까지 4차례 사건의 진행상황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12일 밝혔다.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보고에서 우리 정부와 군의 늑장 및 부실대응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최초 보고는 4일 위기관리센터를 통해 이뤄졌다”며 “오전 7시35분∼40분 사이에 지뢰폭발 사건이 발생한 뒤 당일 오전 10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최초 보고 내용에 대해선 “DMZ 수색작전 투입반에게 미상의 폭발이 일어나 부상자 2명이 발생했고, 응급조치를 했다는 내용이었다”고 설명했다.
2차 보고는 다음날인 5일 오후 4시 이후 이뤄졌다. 1차 현지조사 결과 북한의 목함지뢰로 추정되고, 이어 확실한 합동조사를 통해 대응책을 강구하겠다는 내용이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당일 오전 박 대통령의 경원선 복원 행사 참석이 적절했느냐는 지적에 대해선 “미상 폭발물에 의한 사고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행사를 취소할 이유는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오전 11시쯤 박 대통령의 경원선 행사 참석 당시만 해도 지뢰가 유실된 것인지, 매설된 것인지 판단이 어려웠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3차 보고는 지난 8일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개최 이후 당일 오후에 이뤄졌다. 이때 폭발물이 북한이 매설한 목함지뢰라는 결론이 내려졌고, 박 대통령에게도 즉각 보고했다. 이어 9일 NSC 상임위 회의에 따른 국방부의 향후 조치 계획 및 세부 결과 보고 등이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4차례 모두 안보실장의 보고가 있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폭발물이 유실된 게 아니라 의도적으로 매설된 북한 목함지뢰라고 최종 판단한 것은 8일이었고, 직후 NSC 상임위가 개최됐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 도발로 규정된 뒤 바로 NSC 회의를 개최한 것”이라며 “신속하게 개최했다”고 말했다. 5일 우리 정부의 남북 고위급 대화 제안의 적절성 여부에 대해선 “당시엔 폭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며 “북한 도발에 대해선 단호히 대처하되 대화는 제의한다는 원칙을 따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혁상 기자
[관련기사 보기]
[‘北 DMZ 지뢰도발’ 공방] “폭발 2시간여 후 최초 보고… 대통령에 총 4차례 알렸다”
입력 2015-08-13 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