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또 위안화 평가절하] “선제적 대응” vs “부작용 우려”… 기준금리 손대나

입력 2015-08-13 03:54

중국이 이틀 연속 위안화 절하에 나서면서 ‘기준금리’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에선 한국은행이 빨리 금리를 인하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지켜보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또 다음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를 두던 시장은 혼란스러워졌다.

한은은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지난 6월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50%로 낮아졌기 때문에 이달 금통위에선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란 예상이 우세했다. 하지만 중국의 갑작스러운 위안화 절하로 신흥국에서 환율전쟁이 촉발될 수 있어 한국이 기준금리를 낮춰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달에 동결되더라도 중국발 환율전쟁으로 우리 기준금리의 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은 좀더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부작용을 키우면서까지 금리인하에 나설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장보형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책 행보를 봤을 때 통화절하가 계속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위안화 약세로 환율이 올라 외국인 자금 이탈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데 금리까지 낮아지면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준금리를 여러 차례 인하했지만 실물경제 효과가 크지 않았고 오히려 가계부채 문제 등 잠재적 위험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2012년 7월 연 3.0%였던 기준금리는 3년 만에 반토막났다.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에 기인한 바 크다. 그럼에도 지난해 세월호 사고, 올해 메르스 사태 등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실물경제는 살아나지 않고 있다. 대신 가계부채는 1100조원을 넘어서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부상했다.

중국의 깜짝 이벤트로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 예측도 더 어려워졌다. 강(强)달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기업들은 위안화 절하로 이중고에 직면하게 됐다. 액션 이코노믹스의 마이클 윌리스는 “중국 때문에 연준이 금리 인상을 늦추는 쪽으로 시장 거래가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통화정책 기조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도이체방크 수석이코노미스트 피터 후퍼는 “(위안화 절화에 따른) 수출 위축과 물가 하락이 걸림돌이지만 미국의 경기 추세를 바꾸거나 노동시장 회복세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시장이 계속 요동치지 않는 한 이번 조치가 연준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