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서화가인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년)의 글씨 11점이 전북 고창에서 새로 발굴됐다. 또 안개에 가린 추사의 제주도 유배 행로를 일부 추정할 수 있는 증언도 나왔다. 고창향토문화연구회는 12일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인촌 김성수 집안의 재실에 걸린 주련(柱聯: 기둥이나 벽에 세로로 써 붙이는 글씨) 11점이 학계 고증을 통해 추사 글씨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주련에 쓴 글귀는 중국 원나라 때 학자이자 시인인 우집(虞集)의 시와 추사가 썼던 ‘상선암(上仙巖)’이라는 시 등으로 주로 귀양 가는 추사의 심정이 담긴 것 같다고 연구회는 설명했다.
추사 금석문 연구가인 이용엽 국사편찬위원은 “이번에 발굴된 추사의 글씨들은 추사체의 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회는 추사가 1840년 9월 한양에서 귀양길에 나선 이후 전주∼나주 사이 행로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를 추정할 수 있는 증언도 나왔다고 전했다.
연구회 측은 “주민 이모씨로부터 ‘예전 추사가 고창군 부안면 하오산마을에 있는 선대 집에서 유숙했으며 그 보답으로 글씨를 써준 일이 있는데, 이를 병풍으로 만들어 잘 보관해 왔으나 한국전쟁 때 잃어버렸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오강석 연구회장은 “추사가 유배길에 고창을 지나 장성을 거쳐 나주로 갔을 가능성이 크다”며 “전주이씨 집안의 문집 등을 살펴보면 추사의 행적을 더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창=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고창향토문화연구회, 추사 김정희 글씨 11점 고창서 새로 발견
입력 2015-08-13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