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개최한 의원총회에서 현행 국회의원 정수를 유지하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것을 사실상 당론으로 확정했다. 하지만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등 선거제도 개편을 두고 지도부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당 혁신위원회가 추진 중인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왔다.
새정치연합은 오후 2시부터 4시간 가까이 의원총회를 실시한 결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사실상 당론으로 확정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표결 등 형식적 절차를 거치진 않았지만 의원 대부분이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찬성했다”며 “사실상 당론”이라고 말했다. 또 문재인 대표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에게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의 일괄 타결에 대해서도 의원들의 동의를 얻었다.
앞서 문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총 모두발언을 통해 “국민들의 정서가 의원정수 확대를 용납하지 않고 있다. 최고위원회에서는 의원정수 확대 없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입장을 정리했다”며 의원들의 지지를 요청했다.
의원들은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공감하면서도 지도부 대응을 비판했다. 조경태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얘기하면서 그 목적을 지역주의 완화라고 하는데 그건 모순”이라며 “문 대표부터 (부산 출마로) 모범을 보이고 지역주의를 극복하자고 말하는 게 이치에 맞는다”고 주장했다. 최규성 의원도 “지도부가 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왔다 갔다 하느냐. 오픈프라이머리가 우리 당론이기 때문에 문 대표가 대선 때 공약한 것 아니냐”고 따진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들의 공천을 좌우할 혁신위의 선출직 공직자 평가안을 두고도 토론이 이어졌다. 평가안은 의원들의 의정 활동과 지역구 활동, 여론조사 등 10여개 항목을 혼합해 종합 평가하는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방선거나 대선 때 당 후보 당선을 위해 기여한 정도와 공약 이행 여부 등을 추가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은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계량화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의원 정수 유지·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새정치, 사실상 당론 확정
입력 2015-08-11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