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목함지뢰 폭발 사건으로 우리 군의 비무장지대(DMZ) 감시체제 허점이 또 다시 노출됐다. 2012년 이른바 ‘노크 귀순’과 지난 6월 ‘대기 귀순’에 이어 DMZ 경계망이 다시 한번 뚫렸기 때문이다.
국방부 합동조사단이 10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군은 북한군이 파주 인근 DMZ 내 군사분계선(MDL)을 440m나 남쪽으로 넘어와 목함지뢰를 묻기까지 이상 징후를 파악하지 못했다. 전방 경계소초(GP) 사이를 연결하는 추진철책까지 북한군이 침투했음에도 지뢰 폭발 전까지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했다. 레이저관측장비와 열상감시장비(TOD), CCTV 등 감시 시스템도 제 기능을 못했다.
북한군이 420g짜리 목함지뢰 3개를 땅속 4∼6㎝ 깊이로 파묻으려면 2명 이상의 병사를 보내 10여분간 작업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군의 엄호작전도 펼쳐졌을 상황이지만 우리 군은 낌새를 전혀 알아채지 못했다. ‘전술적 조치’에 대한 과오를 군이 인정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여름철 우거진 수풀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정찰활동의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끊이지 않은 DMZ 사건에 대한 책임 추궁이 불가피해 보인다.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의 정찰 매뉴얼 수정 등 DMZ 수색작전 체계를 대대적으로 보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감시장비 성능을 높이고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도록 촘촘한 정찰망을 재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지뢰가 없다고 분류된 곳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정밀한 탐지 작전이 실시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DMZ 지뢰 도발] 또 뚫린 DMZ 경계… 군사분계선 440m나 넘어와
입력 2015-08-11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