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공천 10% 청년 할당’ 野 혁신안 맞아?

입력 2015-08-10 02:00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8일 광주의 한 식당에서 당 소속 광주·전남·전북 지역 의원들과 만찬회동을 갖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임내현 박주선 장병완 최원식 이윤석 박혜자 의원, 이 원내대표, 박지원 의원, 김영록 수석대변인.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내년에 치러질 20대 총선 공천의 10%를 만 45세 이하 ‘청년’에 배당하라고 당에 제안했다. 하지만 제19대 총선에서도 만 45세 이하 후보가 상당수 공천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번 혁신안을 무색하게 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청년공천할당제와 청년차등가산제 등을 골자로 한 제7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위가 제안한 ‘청년후보 1·2·3 공천할당제’는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당이 국회의원의 10%, 광역의원의 20%, 기초의원의 30% 이상을 청년으로 공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현재 당헌에 따라 만 42세 이하 경선 참여자에게 일괄 20%의 가산점을 주던 것을 세분화(25∼29세 20%, 30∼35세 17%, 36∼42세 15%)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청년이 살아야 우리 모두가 살 수 있다”며 “젊은 일꾼을 과감히 수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일한 30대 혁신위원인 이동학 위원은 “58세 아저씨가 힙합 바지를 입은 ‘꼰대 정당’이 지금 새정치연합의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혁신위는 당의 국고보조금 3%를 청년조직에 할당할 것과 시·도당 혁신을 위한 시·도당 상무위 월례 개최 및 중앙당 사무직 당직자 순환보직 실시 등도 제안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선 이번 혁신안이 내년 총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12년 치러진 19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은 만 45세 이하 후보가 43명(지역구 32명, 비례대표 11명)이나 됐기 때문이다. 현행 국회의원 정수(300명)의 10%인 30명을 훌쩍 넘긴 숫자다. 이런 지적이 나오자 혁신위 임미애 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혁신안 방점은 국회의원 선거가 아니라 지방선거 청년공천 확대에 있다”고 설명했다.

당의 청년 기준(만 45세)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도 나온다. 한 당직자는 “이번 혁신안은 40대 초반 정치인을 위해 만든 것 같다”고 꼬집었다. 혁신위 내에서도 청년 기준을 낮추는 안을 놓고 격론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 혁신위원은 “연령을 낮추면 지방은 아예 청년조직을 구성할 수 없게 돼 건드릴 수 없었다”고 했다.

여당은 이 혁신안에 대해 “의미 없는 ‘숫자 발표’일 뿐”이라고 폄하했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잘못하면 정말 건강하고 실력 있는 정치인을 양성하기보다 ‘정치꾼’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며 “의미 있는 혁신안으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