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통학길 더 안전하게!… 경기도, 안전실태 전수조사

입력 2015-08-06 02:45

경기도 안산시 정지초등학교 앞은 어린이 보호구역인데도 2개 차로 중 1개 차로를 불법 주정차 차량이 점거하는 일이 잦아 사고위험성이 높았다. 이에 도는 학교 앞의 차로수를 1차로 줄이고 중앙분리대를 설치했다(사진).

군포 궁내초등학교는 성인 기준으로 설정된 신호등 탓에 건널목 보행에 어린이들이 불편을 겪고 있었다. 도는 학교 앞 교차로 신호등을 어린이 보행기준에 맞추도록 하고 1회 횡단이 가능하도록 대각선 교차로를 설치했다.

경기도는 지난 2∼6월 도내 121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통학길 안전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971개교에서 2341건의 문제점을 발견해 1482건을 해결했다고 5일 밝혔다. 해결되지 않은 859건은 관리카드를 작성해 사후 관리할 방침이다.

조사결과 문제점으로는 시설개선 사항이 168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CCTV개선 257건, 신호체계 등 운영개선 191건, 주정차 위반 184건, 노상주차장 폐지 13건, 통학구역 조정 11건 등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 가운데 시설개선 1175건, 주정차 위반 164건, 신호체계 등 운영개선 87건, CCTV개선 49건, 노상주차장 폐지 5건, 통학구역 조정 2건 등 총 1482건을 해결했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도 이날 올해 지정된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 43곳을 점검한 결과 시설 개선이 필요한 사항 443건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곳당 평균 10.3건 꼴이다. 안전표지 미설치(80건), 스쿨존 표시 등 각종 노면표시 미설치(65건), 횡단보도·과속방지턱 미설치(64건), 노면표시 퇴색(61건) 등의 순이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