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도는 금융 통합조회 서비스

입력 2015-08-06 02:45

20대 직장인 김모씨는 최근 종이통장이 없어진다는 얘기에 걱정이 커졌다. 실물통장이 있어도 계좌를 가지고 있다는 걸 잊기 쉬운데 통장마저 없으면 돈이 들어있어도 평생 잊고 넘어갈 것 같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소비자 권리 강화를 위해 각종 통합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상품 금리와 수익률 등을 한번에 비교할 수 있고, 일처리를 위해 여러 금융사를 돌아다닐 필요 없이 앉은 자리에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하지만 이 서비스가 형식적으로 구성된 데다 당국의 홍보 부족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서비스 내용에 대해 모르거나 제대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김씨의 경우 ‘휴먼계좌통합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은행, 보험사, 우체국 등에 있는 휴면계좌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카드의 포인트 적립 내역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가족이 사망했을 때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금융재산과 채무 내역을 한번에 확인해 채무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서비스는 나열식이라 소비자가 느끼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현재 은행연합회, 저축은행연합회 등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예·적금, 대출 상품 금리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고 내년부터는 전 금융권 상품을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비교할 수 있다. 문제는 고객이 영업점에 방문했을 땐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 등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서비스는 금융상품을 단순 나열하는 데 그쳐 고객에게 무의미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홍보도 미흡하다. 지난 6월 개설된 연금포털의 경우 한 달 만에 가입자가 5만명을 넘어섰다고는 하지만 개인연금 가입자 876만명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이다. 서비스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은 셈이다.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서비스는 1998년부터 시행돼 점차 조회 범위를 확대해왔으나 올 들어 6월까지 월 평균 이용이 8000여건에 그쳤다. 그나마 지난달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 사망신고와 동시에 상속재산 조회 신청이 가능해지면서 이용건수가 1만2000건에 육박했다. 금감원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홍보자료를 금융회사, 전국 지자체 등에 배포하고 블로그 등 온라인 공간에서도 적극 알린다는 방침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