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오너 일가가 경영권을 둘러싸고 연일 ‘막장 드라마’를 연출하자 소비자단체가 롯데그룹 제품 불매운동에 들어갔다.
금융소비자원(금소원)은 4일 “롯데의 부자·형제간 경영권 분쟁은 국내 재벌의 비양심적이고 반시장적인 작태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며 “롯데카드, 롯데백화점 등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대한 불매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소원은 재벌의 전근대적 행태를 바로잡으려면 소비자의 실질적인 불매운동과 정부의 전면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소원은 “총수 일가만 배불리는 지배구조나 그들의 제왕적 행태는 도를 넘어섰다”며 “롯데그룹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매운동 등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 관련 부처들도 롯데그룹의 정경 유착과 자금조달 및 운용, 배당, 송금, 상속 등과 관련된 불법 의혹에 대해 전면적으로 수사해 롯데와 같은 비이성적 재벌의 행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소원은 향후 롯데 계열사에 대출한 금융사나 투자한 국민연금에 대해서도 적정성 여부를 평가할 계획이다.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은 유통, 소비재 업종을 주력으로 하는 롯데그룹 매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 특히 광복 70주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일본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지면서 반기업 정서에 반일 정서까지 겹치면 롯데그룹은 장부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손해까지 감수해야 한다.
금소원은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기업을 오너 일가 소유로 착각하는 관행에서 비롯됐다고 봤다. 금소원은 “재벌이 국가와 국민, 시장과 소비자를 기만한 채 오로지 개인적 치부에만 치중하면서 사회적 책임이나 공헌에 관심이 없다는 점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벌 오너 일가의 반복되는 경영권 다툼이 경제적 폐해를 불러오고 국가 이미지도 실추시킨다는 지적이다.
시민단체 활빈단도 롯데그룹의 행태가 소비자인 국민을 우롱하고 있다며 불매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활빈단은 “롯데는 몸통은 한국에, 머리는 일본에 있는 기형적 지배구조”라며 “돈은 한국에서 벌어 일본에 바치는 꼴이기에 롯데는 일본 기업으로 봐야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롯데 경영권 분쟁] 소비자단체, 롯데 제품 불매운동 돌입
입력 2015-08-05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