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 경주 유치 ‘악수’… 경북도·대구시·경주시 협약

입력 2015-08-03 02:08
경북도와 대구시가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경주 유치를 위해 힘을 모은다.

경북도는 지난 31일 도청 회의실에서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를 비롯한 국가 원자력 에너지정책 공동협력을 위해 대구시, 경주시 등과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경북도, 대구시, 경주시는 협약에 따라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 등 원자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국가 미래 에너지정책 사업, 원자력안전 대국민 캠페인, 에너지절약 캠페인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원자력해체센터는 국내에서 개발될 원전 해체기술을 실증·검증할 시설로, 1473억원이 투입된다. 도는 지난 4월부터 원자력해체센터 유치를 위해 한전KPS,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 두산중공업 등 국내 원전 핵심기관과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경주시도 지난해 8월 원자력해체센터 유치 추진단을 만들어 중앙정부에 유치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지역 산·학·연·관 17개 기관과 상호협력 협약을 하는 등 사활을 걸고 있다.

대구시는 국가 원전 정책 발전을 위해 원전시설이 밀집한 경주가 원자력해체센터가 들어설 최적지라고 판단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이 시설의 경제성과 기술적·정책적 수요에 대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조사가 마무리되면 내년 중 사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 3월 미래창조과학부가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유치 의향을 조사한 결과 경북,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전북, 전남, 강원도 등 8개 지자체가 의향서를 제출했다. 경북에는 국내 가동원전 24기 가운데 12기가 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