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마친 朴 대통령, 노동개혁 고삐죈다

입력 2015-08-03 02:55

박근혜 대통령이 닷새간의 여름 휴가를 마치고 3일부터 업무에 복귀한다. 박 대통령은 휴가 기간 외부일정 없이 청와대 관저에 머물면서 하반기 정국 구상에 몰두해 왔다. 그런 만큼 업무 복귀와 동시에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던 국정과제 이행에도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 하반기 박 대통령의 핵심적인 국정 운영 방향은 강도 높은 개혁 드라이브다. 그중에서도 노동개혁 추진에 매진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노동개혁에 대해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 “경제 성장을 위한 필수 생존전략”이라고 거듭 강조해 왔다. 더욱이 일자리 창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선 노동개혁이 반드시 필요하고, 연내에 이뤄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노동개혁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첫걸음인 만큼 휴가 이후 행보도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집권 3년차 하반기와 5년 임기의 반환점을 맞고 전국단위 선거가 없는 올해가 사실상 개혁과제 실현의 마지막 기회인 만큼 개혁과제 완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겠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4일로 예정된 국무회의는 물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민을 상대로 노동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관련 행보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공공·금융·교육 등 다른 4대 개혁과제 추진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 드라이브와 별도로 제70주년 광복절에 즈음한 박 대통령의 행보도 주목된다. 국민 대통합 차원에서 단행할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기업인들을 포함할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다. 이번엔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사면과 관련해 청와대는 언급을 극도로 꺼리고 있다.

광복절과 관련한 대북 또는 대일 메시지의 방향은 아직은 검토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최근 각 부처의 의견과 자료를 취합해 광복절 메시지 작성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광복 70년의 역사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하자는 취지의 대국민 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은 광복 70년을 맞아 자긍심과 자부심을 갖고 미래를 위해 국민들이 더욱 노력하자는 의지를 강하게 갖고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들은 전했다.

아울러 이르면 이달 말쯤 공식적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종식선언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교체 문제를 포함한 인적·제도적 후속 조치에 대한 검토도 예상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