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교신청사(조감도)가 올해 하반기 조경공사를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 건물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0년 완공될 전망이다. 1995년 신청사 기본계획을 수립한지 21년만에 첫삽을 뜨게 됐다. 청사 옆 부지에는 음식점, 호텔, 면세점, 도교육청 등이 입주하는 복합시설을 지어 그 이익금으로 청사건립재원 일부를 충당키로 했다.
남경필 도지사는 30일 오전 도청에서 ‘경기도 신청사 건립사업 설명회’를 갖고 이런 내용의 신청사 로드맵을 발표했다.
남 지사는 “빚내지 않고 건립재원을 마련하며, 광교 입주민이 바라는 대로 최대한 신속하게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체 행정타운 부지 12만㎡ 중 2만6000㎡를 복합개발을 통해 발생하는 이익금 1500억원 가량을 신청사 건립재원으로 확보하기로 했다.
도는 복합시설 개발 이익금 1500억원과 현 청사 매각 대금 1300억원, 공유재산 매각대금 2000억원, 손실보상금 800억원 등 총 5600억원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복합시설 개발에 따라 6만㎡로 계획됐던 신청사 건립부지는 3만3000㎡로 축소되고, 건립비용도 당초 4270억원에서 3630억원으로 줄어든다. 복합개발 이익금과 청사 축소로 인한 건립비 절감으로 2100억원의 여유자금이 생기는 셈이다.
청사부지 축소로 남는 공간에는 5만9500㎡ 규모의 대형 잔디광장이 조성돼 미국 맨해튼 센트럴파크처럼 도민에게 개방된다.
당초 지하 3층 지상 25층으로 설계중인 신청사는 위압감을 없애고 호화청사 논란을 피하기 위해 층수를 낮춰 길게 눕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사 옆 복합개발 시설에는 초특급호텔, 면세점, 도내 사회적기업 및 중소기업 대표상품 판매점, 도내 장인생산품 판매점, 도자기 판매장 등을 유치해 주변 상권과의 경쟁을 피하고 차별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1만㎡ 규모의 오피스·문화시설에는 도내 곳곳에 산재한 경기지방노동위원회 등 특별지방행정기관과 가스안전공사 등 공공기관을 유치하고 건립된 지 20년이 넘은 기존 문화의 전당을 대체할 음악당 같은 문화시설 유치도 계획 중이다.
과밀학급 논란을 빚어왔던 광교신도시 내 초등학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신청사 부지 일부를 교육청에 제공해 초등학교 1개가 신설된다.
도는 오는 12월까지 국토부로부터 ‘광교신도시 계획 변경허가’를 받고 내년 상반기에 건축설계를 완료한 후 하반기에 본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도 광교신청사 복합개발 방식 건립
입력 2015-07-31 0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