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청년 고용절벽 해소 전사적 매진… ‘사회 맞춤형 학과’ 운영 늘리고 지방인재 채용 활성화

입력 2015-07-31 02:50
LG가 청년 고용절벽 해소에 전사적 역량을 투입키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사회 맞춤형 학과’ 운영을 확대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지방인재 고용을 활성화하는 내용 등이 핵심이다.

사회 맞춤형 학과는 2012년부터 LG가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청년고용 프로그램이다. 기업이 대학과 협약을 통해 기업 현장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고, 졸업 후 학생들의 해당 기업 입사를 적극 지원하는 산학연계 채용 과정이다. 현재 KAIST ‘LG 소프트웨어 과정’과 숭실대 ‘소프트웨어 특화 LG 트랙’ 등 소프트웨어 분야 중심으로 10개 대학과 사회 맞춤형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LG는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우선 사회 맞춤형 학과 전공을 전기·전자, 기계·자동차부품 분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설치 대상 대학도 LG전자가 경북대와 부산대, LG이노텍이 전남대, LG유플러스가 지방 전문대 등 LG 계열사 사업장이 위치한 지방의 전국 4년제 대학 및 전문대로 늘린다. 대학은 전공을 세분화하고 학위 심화 과정을 편성하게 되며, LG는 사회 맞춤형 학과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에 참여하면서 실습 현장과 장학금도 제공한다. 또 기존 교수진 외에 LG의 현직 임직원이 재능기부 등 형태로 실무형 교수진에 참여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LG는 충북도와 함께 운영하는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힘을 모아 청년고용 활성화를 지원키로 했다. 충북혁신센터와 충북에 위치한 LG 사업장이 연계해 사업과 기술 전략에 맞는 사회 맞춤형 학과를 연내 개설하고 내년 새 학기부터 운영한다. LG화학을 중심으로 LG하우시스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이 참여해 화학, 재료소재, 전기전자, 컴퓨터, 기계 전공 중심으로 충북대 등 충북지역 4년제 대학과 충북도립대, 대원대 등 전문대와 협력할 방침이다.

특히 충북혁신센터는 지역고용센터와 협업해 충북지역 대학에 지역 특화산업인 뷰티, 바이오, 친환경 에너지 분야의 사회 맞춤형 학과를 개설해 LG 및 관련 지역 기업에 필요 인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중소기업의 고용난 해소를 위한 ‘고용 디딤돌’ 프로젝트도 병행한다.

LG는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산학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 수료자 중 해당 기업에서 3년 이상 근무하고 성과가 우수한 사람이 LG에 지원할 때는 가산점을 부여한다.

LG 관계자는 “사회 맞춤형 학과 운영 확대로 LG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 확보는 물론 지방의 우수 인재들에게 보다 넓은 채용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