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에서 도입한 해킹프로그램 ‘리모트컨트롤서비스(RCS)’를 활용해 북한의 불법 무기거래를 적발했다고 여권 관계자가 29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정원이 지난 27일 국회 정보위원회 해킹 의혹 관련 현안보고에서 해킹 시도 건수와 성과에 대해 비교적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안다”며 “300여건의 시도 중 북한 무기거래가 포착됐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또 해외 북한 공작원들의 외화벌이 방식과 우리나라에 입국한 중국 마약사범의 소재도 RCS를 통해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정확한 해킹 시도 건수는 알 수 없다”며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고, 타깃을 걸어놓으면 보통 6개월에서 2년씩 해킹 대상이 되는데 일부는 실패해서 (대상에서) 자동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는 게 국정원 설명”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국정원이 적발한 북한의 무기거래 내용 등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정보위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 임모 과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기 닷새 전인 지난 13일 출장 명령을 받고 본래 근무했던 대전에서 서울로 근무지를 옮긴 뒤 자료를 삭제했다고 주장했다. 임 과장의 자료 삭제 과정에 윗선의 지시나 묵인·방조가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 제기다. 신 의원은 “삭제에 상당히 많은 비밀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여야는 다음 달 6일 서울 내곡동 국정원에서 ‘해킹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전문가 기술간담회를 갖기로 했다. 간담회에는 정보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새정치연합 신 의원과 여야가 각각 추천하는 전문가 2명씩 모두 6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국정원, RCS 활용 北 불법 무기거래 적발”
입력 2015-07-30 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