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에서 문형표(사진) 보건복지부 장관 사퇴론이 힘을 받고 있다. 주무장관이 책임을 지는 것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공적연금 강화 논의, 국정감사 등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사퇴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의견도 나왔다.
국민일보가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 8명에게 물은 결과 6명이 “사퇴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직을 유지하고 후속 조치에 매진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2명뿐이었다. 3명은 해외 출장 등의 이유로 연락이 닿지 않았다.
사퇴 불가피론을 펼친 이들은 초동 대처 실패를 이유로 꼽았다. 한 의원은 “메르스 사태가 두 달 넘게 이어진 데는 복지부가 초기 대응을 제대로 못한 탓이 크다”며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면 국민이 납득하겠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장관으로서 할 일은 끝났으니 사퇴 시기는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고 했다. 또 다른 의원은 “정무적으로 유임은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했다.
메르스 완전 종식 때까지는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시적 유임론이다. 한 의원은 “현장에서 메르스 사태를 직접 겪은 문 장관이 감염병 의료체계의 문제점 등을 가장 잘 안다”며 “후속 조치를 마무리 짓고 정부가 완전 종식을 선언할 8월 말, 9월 초쯤 물러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날 국회 메르스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문 장관은 정치적 책임을 피할 수 없고, 질병관리본부의 초동대처가 미흡했던 데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고 사퇴를 압박했다.
반론도 있었다. 복지위의 다른 의원은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장관을 바꾸기엔 부담이 너무 크다”며 “책임을 묻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감염병 대응체계를 제대로 구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다른 의원은 “연금 전문가라고 해서 데려와 놓고 보건의료 못했다고 ‘토사구팽’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공적연금 강화 논의가 시작될 텐데 그 분야에서 문 장관만큼 경험 있고 정무 감각 있는 전문가가 없다”고 감쌌다.
문 장관은 최근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주변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문 장관 본인은 언제든 물러날 수 있다는 자세가 돼 있다”며 “미련이 없는 건 분명한데,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아직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 같다”고 했다.권지혜 기자 jhk@kmib.co.kr
메르스 사실상 종식선언 나오자마자… 여권서 커지는 문형표 사퇴론
입력 2015-07-30 02:21 수정 2015-07-30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