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도 이란·쿠바 같은 특별한 대안 필요”… 美서 ‘대권 행보’ 김무성 이번엔 외교 일성

입력 2015-07-29 19:02

방미 중인 새누리당 김무성(사진)대표가 대북 및 외교 구상을 피력했다. ‘정치혁신’의 첫걸음으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실시를 제안한 데 이어 대외정책으로 영역을 넓힌 것이다. 일각에선 김 대표가 자신의 정치·외교적 소신을 분명히 밝히면서 여권의 유력 대권주자 행보를 가시화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김 대표는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오찬 연설을 통해 “북한이 ‘핵·경제 병진노선’을 포기하고 솔직하게 그들의 현실적 요구를 제시하게 할 외교·안보적 대안을 한·미 양국이 주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간의 전략적 인내를 뛰어넘는 창의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북한에도 미국의 이란 핵 협상, 쿠바 국교 정상화와 같은 ‘특별한 대안’을 적용시켜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 ‘통일 한국’을 위한 한·미 공조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중국을 어떻게 통일에 협력하도록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한국과 중국의 경제 교류 범위가 더 넓어져 중국이 한국을 중요한 파트너로 보는 생각이 굳어지게 만들고, 그 힘을 통해 북한을 컨트롤하게 되면 통일에 한 발짝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답했다. 우리 정부의 대미 및 대중 관계에 대해선 “한국과 미국과의 관계는 전면적인 관계이고, 한·중 관계는 분야별 일부의 관계”라고 부연했다.

과거사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사과도 촉구했다. 김 대표는 “한국 국민의 (좋지 않은 대일) 민족 감정을 잠재우려면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 한마디면 다 해결된다”고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인 오는 8월 15일을 기념해 내놓을 ‘아베 담화’와 관련해 “(과거의) 기념사에서 후퇴한다면 한·일 관계는 또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이날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에 이어 로버트 워크 미 국방부 부장관 등을 만났다. 공화당을 이끄는 존 베이너 하원의장과 존 케리 국무장관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워싱턴=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