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늘리기 논란] “당 정체성은 민생제일주의”… ‘반혁신’ 비난받으며 6차 野혁신안 발표

입력 2015-07-29 02:51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가 28일 당 정체성을 ‘민생 제일주의’로 규정하는 6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틀 전 꺼내놓은 ‘의원 정수 확대’ 제안에 ‘반(反)혁신’ 비판이 봇물처럼 몰려들면서 이번 혁신안마저 빛이 바래고 있다. 당 일각에선 혁신위 해체론까지 거론하는 모양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TBS라디오에 출연, “국민이 동의하지 않는 (의원) 증원은 개인적으로 반대한다”고 말했다. 혁신위 출범 초기부터 각을 세웠던 조경태 의원은 다른 라디오 인터뷰에서 아예 혁신위를 ‘반혁신 단체’로 규정하며 해체를 요구했다. 조 의원은 “이런 반혁신안을 내세운 혁신위는 즉각 해체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혁신위는 꿋꿋하게 ‘공정사회를 지향하는 민생복지 정당’을 당 정체성으로 확정할 것을 지도부에 요구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국회 브리핑에서 “당이 국민 신뢰를 잃은 것은 중도개혁이나 ‘좌클릭 우클릭’ 등 추상적인 말 뒤에 숨어 개인과 정파의 이익을 앞세웠기 때문”이라며 “이 순간부터 새정치연합에는 ‘민생파’만 존재함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갑질 경제’ 타파와 민주적 시장경제 체제, 선(先) 공정조세-후(後) 공정증세 등의 당론 채택을 촉구했다. 또 법인세 실효세율을 먼저 인상한 뒤 이른바 ‘부자감세’ 철회에 나서라며 ‘증세’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여성 30% 공천 의무화 등도 혁신안에 담겼다.

혁신위는 당 대표와 외부 인사 1명이 공동 의장을 맡는 민생연석회의를 상설기구로 설치해 내년 총선 민생의제를 선정하라고 주문했다. 당직자의 20% 이상을 민생복지 담당 부서에 배치하고, 최고위원 1명과 민주정책연구원 상근부원장 1명의 민생 분야 담당도 주문했다.

그러나 이번 혁신안이 되레 추상적 정책 방향에만 무게를 실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비주류 진영의 한 관계자는 “혁신위원장이 이젠 정책위의장까지 겸하기로 했느냐”며 “의원 정수 논란도 모자라 증세까지 건드리면 당은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