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융당국은 중국 증시 폭락 후폭풍 주시하고 있나

입력 2015-07-29 00:50
‘블랙 먼데이’를 겪은 중국 증시의 후폭풍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27일 8.5%가량 폭락해 2007년 2월 이후 8년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무려 1800여개 종목이 하한가를 맞기도 했다. 이달 초순 급락세를 보이다 지난 2주간 상승세로 돌아선 중국 증시가 자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경기지표 부진으로 다시 폭락장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여파로 아시아와 유럽, 미국 등 세계 증시가 동반 하락했다. 28일에도 중국 상하이 증시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아시아 주식시장이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 당국이 자금 공급 확대 방침을 밝히면서 증시 안정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경기 악화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다 당국의 개입도 한계를 노출하면서 시장에 먹혀들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증시가 진정한 시장이 아닌 정부 운영 시스템으로 전락했다’는 블룸버그의 비판까지 나올 정도다. 이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의 글로벌 자금 유출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28∼2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 회의를 앞두고 미 기준금리 인상 우려가 재부각되면서 신흥국 자금 유출은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거품 붕괴가 현실화돼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지면 글로벌 경제에도 찬물을 끼얹게 된다는 점에서 세계 각국이 예의 주시하고 있다.

중국 증시 파동과 미 기준금리 인상 임박 등으로 국내 증시도 휘청거렸다. 코스닥지수는 전날 3% 이상 급락한 데 이어 이날 조정 장세를 이어갔다. 외국인들의 자금 회수와 함께 2분기 국내 기업 실적 부진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9일엔 ‘어닝 쇼크’가 예상되는 조선주 빅3(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키는 형국이다. 뾰족한 수는 없겠지만 우리 금융 당국도 대외 불확실성이 미칠 파장을 최소화할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