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금강산 소나무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원인 규명과 병충해 방제를 위한 전문가 파견을 남측에 요청해 왔다. 이에 따라 우리 측에서 현대아산 관계자와 산림 전문가들이 29일 방북해 금강산을 찾는다.
통일부 당국자는 28일 “금강산 산림 실태조사를 위해 산림 전문가와 현대아산 관계자 등 8명이 29∼31일 2박3일 일정으로 금강산을 방문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는 지난 15일 북측이 현대아산에 금강산 병충해 방제를 위한 조사를 제안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들의 방북 신청을 승인해 놓은 상태다. 산림 전문가들은 방북 후 내금강과 외금강 지역에서 각각 하루, 고성읍 지역에서 반나절 정도 머물며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특히 고성읍 인근 소나무의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강산 소나무의 정확한 상태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나무 아랫부분부터 누렇게 변색되는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최근 지속된 가뭄 또는 영양 부족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최근 남한에서 기승을 부리는 재선충병과는 별개의 증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이번 조사로 이상 증상 원인이 확인되면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지원 또한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 당국자는 “금강산은 남북이 공동으로 보호해야 할 유산이므로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 또한 정부가 말한 산림 협력의 한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계기로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 수 있을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그는 “(병충해 실태 조사와 금강산 관광은) 별개의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고난의 행군’ 시절 황폐화된 산림 복구를 올해 중점 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산림 남벌을 엄벌하는 한편, 양묘장 건설 등 나무심기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이번 요청 또한 김 제1비서의 이 같은 의지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금강산 소나무 죽어가”… 北, 지원 요청
입력 2015-07-29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