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의 늪에 빠진 한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경고음이 여기저기서 울리고 있다.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신성장 산업을 찾아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27일 국내외 경제예측기관들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09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7600달러에 머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전년(2만8100달러)에 비해 500달러 줄어든 수치다. 연구원은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 2.6%와 원·달러 평균환율 1109원, GDP디플레이터 증가율 0.5% 등을 가정했다.
당초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올해나 내년에 3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하반기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달러 강세가 진행되면서 3만 달러 도달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1인당 국민소득도 2023년에야 4만 달러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한 한국의 저성장 현황과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OECD 전망대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9%로 하락하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만 달러에서 4만 달러를 달성하는 데 17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2006년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한 한국은 2023년에야 4만 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반면 OECD 주요국의 국민소득 4만 달러 평균 달성기간은 13.6년이었다. 주요 7개국(G7) 가운데 일본, 이탈리아, 영국의 경우 국민소득 4만 달러를 달성하기까지 각각 8년, 13년, 14년이 소요됐다. 한국이 4만 달러 클럽에 가입하는 데 17년이 걸릴 경우 OECD 21개 국가 가운데 핀란드(18년)를 제외하고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한경연은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7의 잠재성장률이 대부분 반등한 반면 한국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G7의 잠재성장률은 2009∼2012년 이후 반등 추세를 보였지만, 한국은 잠재성장률이 2015년 3.59%에서 2022년 2.9%로 떨어지고 2034년에는 1.91%로 급락할 것으로 OECD는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성장 동력을 하루빨리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한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수석연구위원은 “한국의 잠재성장력이 한 단계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면서 “내수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연 김창배 연구위원은 “그동안 성장을 주도하던 반도체와 휴대전화, TV 등의 업종 이후에 신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것이 저성장에 빠진 주요 원인”이라며 “서비스산업과 같이 고학력 청년층 노동력에 대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신성장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한승주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1인당 국민총소득 6년만에 뒷걸음질 우려
입력 2015-07-28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