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대책] 산업수요 맞춰 구조조정하는 대학 지원… 산학 협력 통한 ‘기업맞춤형 교육’ 강화

입력 2015-07-28 02:53
정부가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해 추진해 왔던 대학 구조개혁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정부가 27일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는 산업 수요에 맞춘 대학 학과 개편과 정원조정 등의 방안이 포함됐다.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려면 수요에 맞는 인재를 공급해야 하고, 이를 위해 대학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하지만 학문의 영역을 취업이란 잣대로 재단하는 일이어서 인문학 위축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교육부는 구조개편 우수 대학에 평균 50억∼200억원, 최대 3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기존 학과를 통폐합하거나 학부·단과대를 신설해 학사 구조를 바꾸는 대학 등에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것이다. 이런 구조개편으로 정보기술(IT) 분야 등의 인재를 양성해 인력수급 미스매치(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고 본다.

산학협력을 통한 ‘기업 맞춤형 교육’도 강화된다. 산업체와 대학이 채용과 직원 재교육 등을 위해 운영하는 ‘계약학과’ 설립이 더 쉬워진다. 대학 3, 4학년을 대상으로 전공과 연계한 장기 현장실습제를 올해 5개교에서 내년 10개교로 늘릴 방침이다.

또 17개 광역 시·도에 들어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지역 대학을 연결해 지역 인재를 집중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인문학 분야가 대거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은 한층 높아졌다. 정부는 이를 불식하기 위해 조만간 ‘인문학 진흥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인문교양 교육 내실화와 함께 기초과학 교육 확대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